수익 모델

시장 분석 및 목표 시장

 

1. 시장 분석

(1) 시장 환경 분석

협력 경제의 부상

  • 글로벌 협력 경제와 디지털 네트워크의 확산은 공유 경제와 협업 기반 플랫폼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.
  •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협업의 수요가 급증하며,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프로젝트 진행과 협력 문화가 대중화되었습니다.

프리랜서 및 플랫폼 경제의 확대

  • 국내 프리랜서 플랫폼 시장은 크몽, 위시켓, 숨고, 오투잡 등 다양한 플랫폼을 중심으로 약 2조 원 규모로 성장하고 있으며, 글로벌 시장은 10조 원 이상으로 추산됩니다.
  • 이 플랫폼들은 주로 단순 인력 중개에 집중되어 있지만, ‘품앗이 프로젝트’는 협력과 신뢰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생태계를 제공합니다.

 

(2) 경쟁사 분석

플랫폼 핵심 서비스 연매출 주요 특징

크몽 전문가 중개 플랫폼 약 700억 원 IT 개발, 디자인 등 다양한 카테고리 제공
위시켓 IT 아웃소싱 플랫폼 약 350억 원 개발자와 기업 간 프로젝트 중개
숨고 생활 서비스 플랫폼 약 750억 원 전문가 연결, 다양한 서비스 범위
오투잡 재능 마켓 플랫폼 약 120억 원 소규모 프로젝트와 개인 재능 거래
이랜서 프리랜서 IT 플랫폼 약 100억 원 전문 인력 매칭 및 관리 시스템 제공

품앗이 프로젝트의 차별화 포인트

  • 기존 프리랜서 플랫폼은 개인 대 개인의 단순 중개에 머무르지만, 품앗이 프로젝트는 협력 기반 생태계와 성과 공유 시스템을 통해 ‘팀 단위 협력’과 스승-제자 관계를 도입합니다.
  • 게임화된 레벨 시스템과 기여도 기반 보상을 통해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며, 플랫폼 내 신뢰와 협력을 강화합니다.

 

2. 목표 시장

(1) 주요 타겟 사용자

  1. 스타트업 및 소상공인
    • 자본, 인력, 자원 등이 부족해 아이디어를 실현하지 못하는 초기 창업자 및 소규모 사업자.
    • 품앗이 시스템을 통해 기술, 아이디어, 자원을 제공받아 협력 기반으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  2. 프리랜서 및 기술 전문가
    • 자신의 기술과 경험을 기여하면서 정당한 보상을 받을 기회를 제공.
    • 스승-제자 관계와 두레 시스템을 통해 신뢰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 형성과 지속적 성장이 가능합니다.
  3. MZ 세대 및 창의적 인재
    • 자신만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협력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창의적인 청년층.
    • 게임화된 레벨 시스템과 보상 시스템을 통해 동기부여와 성취감을 제공합니다.
  4.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 및 단체
    • 재능 기부,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CSR(사회적 책임)을 이행하며, 신규 인재를 발굴하려는 기업.
    • 사회적 공헌과 동시에 협력을 통해 사업적 성과를 창출합니다.

 

(2) 시장 규모 및 성장 가능성

  1. 국내 시장
    • 국내 협력 및 공유 경제 시장은 연평균 15% 성장률을 기록하며, 2025년까지 약 3조 원 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
    • 이는 프리랜서 플랫폼, 협력 기반 프로젝트 시장, 기술 기반 협업 시스템에 대한 꾸준한 수요 증가에 기인합니다.
  2. 글로벌 시장
    • 글로벌 협력 플랫폼 시장은 약 10조 원 규모에서, 2028년까지 약 20조 원 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    • 디지털 플랫폼의 보급, AI 매칭 시스템의 발전 등은 협력 경제의 국제적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.

 

(3) 품앗이 프로젝트의 시장 기회

  • 기존 플랫폼의 한계: 단순 일거리 중개와 개인 중심 구조로 인해 협력의 한계가 분명한 기존 플랫폼 대비, 품앗이 프로젝트는 장기적이고 신뢰 기반의 생태계를 제공합니다.
  • 신뢰 기반 생태계: 두레 시스템과 스승-제자 시스템을 통해 협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합니다.
  • 공정한 보상 체계: 품앗이 포인트와 레벨 시스템을 활용해 기여도에 따른 투명하고 정당한 보상을 제공합니다.
  • 글로벌 확장성: 한국의 전통 협력 문화를 디지털화하여 세계적인 협력 플랫폼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

 

3. 품앗이 프로젝트의 차별화된 목표 시장

  1. 지역 사회와 연결: 국내외의 지역 커뮤니티와 협력하여 사용자 기반을 확장.
  2. 산업 간 융합: IT, 디자인, 마케팅 등 다양한 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.
  3. 사회적 기여와 재능 공유: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용자들에게 적극적인 참여 동기 부여.
  4. 글로벌 협력의 허브: 국가 간 협력을 촉진하며, 국제적인 신뢰 기반 생태계 구축.

품앗이 프로젝트는 단순 플랫폼을 넘어, 협력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생태계를 구축합니다.

사업 모델 및 수익 구조

 

1. 프리미엄 멤버십 및 유료 아이템

  1. 프리미엄 멤버십
    • 무료 체험: 3개월 무료 사용 기간을 제공하여 신규 사용자의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춤.
    • 멤버십 혜택:
      • 우선 프로젝트 참여권.
      • 고급 데이터 및 네트워크 정보 접근.
      • 개인/두레 페이지 커스터마이징 기능 활성화.
      • 포인트 교환 비율 상향 조정.
    • 요금제:
      • 기본 멤버십: 월 10,000원.
      • 프리미엄 멤버십: 월 30,000원(추가 기능 포함).
  2. 유료 아이템
    • 개인 프로필 꾸미기: 프로필 배경, 아이콘, 특별 테마 등 판매.
    • 두레 페이지 커스터마이징: 팀 로고, 배너, 업적 표시 아이템 제공.
    • 경험치 부스트 아이템: 한정된 기간 동안 경험치를 더 많이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 판매.
    • 전용 기능 아이템: 두레 간 경쟁 랭킹 강화, 프로젝트 관리 도구 추가 제공.

2. 플랫폼 수수료 및 광고 모델

  1. 수수료
    • 프로젝트 성공 수수료:
      • 프로젝트 완료 시, 총 수익의 5~10%를 플랫폼 운영비로 수수료 부과.
      • 이 수익은 플랫폼 유지 및 향후 프로젝트 지원에 재투자.
    • 프리랜서 및 두레 매칭 수수료:
      • 기술자나 전문가 매칭 시 3~7%의 중개 수수료 적용.
      • 높은 신뢰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간의 협력 성공률을 증가.
  2. 광고 및 스폰서십
    • 기업 협업:
      • B2B 기업과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스폰서십 및 광고비 확보.
    • 타겟 광고:
      •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.
    • 브랜드 이벤트:
      • 기업 및 브랜드와 협력하여 두레 간 경쟁 이벤트를 개최, 광고 효과 증대.

 

3. 기술/인력 중개 수수료

  1. 기술 및 자원 중개
    • 전문가 매칭 수수료:
      • 기술자, 디자이너, 개발자 등 다양한 전문가와 프로젝트 팀을 연결하는 서비스에서 매칭 수수료 부과.
      • 소규모 프로젝트: 3%.
      • 대규모 프로젝트: 5%.
  2. 두레 시스템 수익화
    • 두레 리더 전용 도구:
      • 프로젝트 관리 및 팀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유료화.
      • 두레 리더가 활용 가능한 고급 통계 및 데이터 접근 기능 제공.

 

4. 블록체인 기반 수익화 모델 (장기 도입 계획)

  1. 품앗이 코인 발행 (장기 목표)
    • 플랫폼 내 기여도를 기반으로 한 코인 시스템 도입.
    • 품앗이 포인트를 블록체인 코인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설계.
    • 코인을 통해 유료 아이템 구매, 플랫폼 서비스 이용, 외부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.
  2. 분산형 시스템 구축 (미래 도입)
    •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으로 플랫폼 운영 비용 절감.
    • 사용자 디바이스를 활용한 분산형 서버 모델 도입으로 유지비 최소화.

 

5. 수익 구조의 지속 가능성

  1. 다양한 사용자층 확보
    • 프리랜서, 기술자, 창업가, 소상공인을 타겟으로 다양한 수익 모델 연계.
  2. 단계적 수익 확대 전략
    • 초기: 멤버십과 유료 아이템 중심의 수익 구조.
    • 중기: 광고, 스폰서십, 프로젝트 중개 수수료 활성화.
    • 장기: 블록체인 기반 코인과 분산형 서버를 통한 수익 확대.
  3. 수익 재투자
    • 플랫폼 유지와 사용자 지원 프로젝트로 재투자하여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.

 

 

 

이 모델은 품앗이 프로젝트의 철학인 "서로 돕고 함께 성장하는 생태계"를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.

 

2019 paradigmdragon. All rights reserved. Our system design creates change and shapes a better world